전체 글 (530) 썸네일형 리스트형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제이콥스]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제이콥스]CNS STUDIO1. 개 요1950년대 미국의 도시 재건 과정에서 이루어진 거대 건물과 자동차 도로 중심의 근대주의적 도시 재개발 방식을 비판 (1961년 출간)도시공간의 생태와 문화를 획일화 시키는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성'을 통한 도시의 지속가능성 방향 제시2. 근대도시계획 VS 제이콥스 도시계획구분 근 대 제이콥스 개발이념 대규모 신도시 기존 도시의 재생 주 체 공공, 자본가 시민, 지역조직 특 징 물리적 계획 중심 도시 생태계 재생 중심3. 다양성을 위한 제이콥스 도시계획의 주요내용용도 혼합 : 많은 지역이 둘 이상의 주요 기능 담당짧은 블록 : 많은 모퉁이와 가로 제공으로 이용의 유동성과 경로로의 혼합 발생다양한 건물 : 다양한 경제적 주체를 위해 많은 비중.. 스마트도시와 DTS 스마트도시와 DTS CNS STUDIO 1. 지능정보사회 개념 1) 지능정보사회 개념 4차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AI 등이 활용되어 경제·사회·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는 사회 2) 지능정보사회 특징 (초연결성) IOT 등을 통해 사람-사물-공간 간의 연계성 확대 (초융합성) 타 기술 분야 간 융합으로 혁신 발생 (초지능성) 딥러닝 기술 발달, AI를 활용한 기술·산업구조 초지능화 3) 지능정보사회의 공간정보 활용 → 스마트도시장소를 중심으로 빅데이터를 통합하는 기능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의 콘텐츠 기능 활용분야와 융합을 통한 가치 창출 물리공간과 사이버공간을 연계하는 플랫폼 등2. 스마트 도시와 관련한 DTS 개념DTS(Digital Twin Space)는 3차원 .. 입지규제최소구역 입지규제최소구역CNS STUDIO 1. 개요 1) 개념도시지역에서 복합적인 토지이용을 증진시켜 도시정비를 촉진하고, 지역거점 육성을 위해 불필요한 입지규제를 최소화하는 구역> 관련법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0조의2, 제80조의3, 제83조의2 2) 도입배경다양한 기능의 융복합을 통한 기성시가지 정비 촉진을 위해 용도구역의 하나로 “입지규제최소구역” 신설(‘15년 1월 시행)2. 지정요건 1) 지정대상도심·부도심 또는 생활권의 중심지역지역의 거점 역할 수행시설 중심으로 정비가 필요한 지역 >교통거점형 : 철도역사, 터미널, 복합환승센터 등 >생활문화거점형 : 학교, 공공청사, 도서관 등 >경제거점형 : 유통업무설비, 종합의료시설 등대중교통 결절지로부터 1km 이내 (3개 이상 노선 교.. 집단환지 집단환지CNS STUDIO 1. 개념토지소유자들의 신청을 받아 공동주택용지에 공유로 환지를 지정하는 것집단환지 미신청 토지는 개별환지로 지정, 과소토지는 금전 청산관련법 : 도시개발법 시행규칙 제27조 제9항 2. 주요내용1) 공동주택용지 계획 이유사업구역 내 지장물 및 거주자가 많아 높은 사업비 지출 예상공동주택용지가 단독주택용지보다 비싸 감보율 감소 → 사업성 향상2) 집단환지 신청대상사업구역 내 환지대상 토지소유자는 누구나 신청 가능소유면적 규모 관계없음, 과소토지 가능3) 집단환지 신청기간시행자가 환지계획 수립 전 60일 이내에 토지주에게 설명 통보4) 집단환지 지정 후 토지이용 방안공동주택 건설업자에게 매각토지주와 공동주택 건설업자가 공동으로 사업시행 (지주공동사업) 입지규제최소구역 지정 등에 관한 지침 입지규제최소구역 지정 등에 관한 지침 보러가기 > 지침의 목적「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0조의2, 제80조의3, 제83조의2에 따라 입지규제최소구역의 지정 및 입지규제최소구역계획 수립 등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하여 입지규제최소구역 제도의 원활한 운영 도모 > 입지규제최소구역이란? [국가공간정보포털]개발제한구역지정관리/개발제한구역 [국가공간정보포털][국토부]개발제한구역지정관리/개발제한구역 >>데이터(shp) 다운받으러가기>> 개발제한구역 관련지침 및 법규 보러가기 컬럼ID컬럼명MNUM관리번호ALIAS별칭REMARK비고NTFDATE고시일자SGG_OID원천오브젝트IDCOL_ADM_SECT_CD원천시군구코드OBJECTIDOBJECTIDSHAPE도형정보 자연환경보전 vs 부동산 가격 안정 지난 정부에서부터 지금 정부까지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통한 저렴한 가격으로 토지공급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에서는 개발제한구역 관리에 대한 일부 권한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이양하기도 했습니다. 개발제한구역이 무엇이길래 이렇게들 풀고 말고 할까요? 개발제한구역은 과도한 도시확장을 막으면서 도시의 녹지공간을 확보하여 생태계를 보전하려는 목적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Green-Belt로 통용되고 있습니다. 정확한 용어는 RDZ(개발제한구역:Restrcted Development Zone)입니다.도시계획은 공법적 사항이기에 정책적 상황에 맞춰 운용되는데 개발제한구역 또한 정책적 사항에 따라 규제에서 완화되고 있습니다. 특히 서민주거안정이라는 목표아래 중.대규모 개발사업을 토지주택공사(LH) 주도하.. 개발제한구역의 조정을 위한 도시관리계획 변경안 수립 지침 개발제한구역의 조정을 위한 도시관리계획 변경안 수립 지침수도권, 부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울산권 및 창원권 등 개발제한구역이 지정된 7대 광역도시권에서 개발제한구역을 합리적으로 지정 또는 해제함에 있어 필요한 기준·요건 및 절차 등에 관한 사항을 정함을 그 목적으로 함>> 서울 개발제한구역 확인하기 근거법령 및 지침「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3조부터 제10조까지「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 제2조부터 제7조까지「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25조(도시관리계획의 입안) 및 제63조(개발행위허가의 제한), 국토계획법 제119조(허가기준) 광역도시계획수립지침(국토교통부 훈령) 이전 1 ··· 55 56 57 58 59 60 61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