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0) 썸네일형 리스트형 도시형생활주택 vs 오피스텔 ■ 도시형생활주택 vs 오피스텔 ▷1-2인가구가 증가하면서 1-2인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도시형생활주택, 오피스텔 등 소규모 공동주택의 공급이 급격히 늘었음 ▷도시형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의 건설 시 적용되는 기준, 절차, 지원사항 등 차이점을 알고 추후 관련 프로젝트에 각각 적합한 주택유형 적용에 활용하고자 함 ▷도시형 생활주택과 오피스텔은 비슷하면서도 차이점을 가지는데 개념/인허가기준/건축기준/부대・복리시설/주차기준/기타완화 사항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음 구분 도시형 생활주택 오피스텔 개념 주택법 제2조 20호 300세대 미만의 국민주택규모(전용85㎡이하)에 해당하는 주택 주택법 시행령 제10조 도지시역에 건설하는 1. 원룸형 주택 : 50제곱미터 이하 2. 단지형 연립주택 : 원룸형 아닌 연립주택 3. 단.. 복합용도개발과 초고층건축 1. 개념 및 배경○ 복합용도개발(MXD, Mixed-use Development)은 다양한 용도의 시설 및 기술을 한곳에 모두 구현하는 개발형태로 개별 건축물에서 도시계획까지 포괄하는 개념○ 초고층은 30층 이상 이거나 12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의미 (건축법(12.01개정))○ 주거와 상업, 업무의 복합화로 이루어진 주상복합건물이나 주상복합단지 등 고층 복합개발 형태로 진행 2. 주요내용1)복합용도개발을 위한 초고층건축이 도시에 미치는 영향○ 도시적 측면 : 도시 스카이라인 재구축, 상징성, 시각통로(Visual Corridor) - 토지이용 효율화 효과 : 압축도시의 장점을 살린 건설가능, 오픈스페이스 확보, 직주근접효과, 도시의 평면적 확산 방지 - 도시이미지제고 효과 : 문화적요소와 경관적요소 .. 특별관리지역 지정목적 ◦대규모 공공주택지구를 해제한 후 난개발이 우려됨에 따라 체계적 도시관리를 위해 공공주택특별법에 의거하여 계획적인 관리 및 개발을 위해 지정 주요내용 1)지정기간 : 10년 범위내 지정, 개발계획 수립된 경우 해제 2)행위제한 ◦국방, 군사 및 교정시설, 공익상 필요한 도시계획시설사업 허용 ◦주거‧생활편익 및 생업을 위한 시설 허용 - 지정 당시 지목이 대, 기 건축물 있는 경우 단독주택, 근린생활시설 가능 ◦물건의 적치 (1~36개월 이하) ◦토지분할 (330㎡ 이상) ◦용도변경 : 주택↔근생, 주택→종교?노유자시설+박물관, 미술관 등 ◦건축물 밀도 : (용적률) 300% 이하 (건폐율) 60% 이내 3)가능 개발사업 ◦도시개발법에 의한 취락정비사업 ◦영세공장 및 주변정비를 위한 산업단지 조성.. [국가공간정보포털]도로(현황) [국가공간정보포털]도로(현황) >> 다운받으러가기 PRESENT_SN 현황도형 관리번호 LCLAS_CL 도형 대분류코드 MLSFC_CL 도형 중분류코드 SCLAS_CL 도형 소분류코드 ATRB_SE 도형 속성코드 WTNNC_SN 도형 조서관리 코드 NTFC_SN 결정고시관리코드 DGM_NM 라벨명 DGM_AR 면적(도형) DGM_LT 길이(도형) SIGNGU_SE 시군구코드 GRAD_SE 규모_등급_심볼 ROAD_TY 규모_류별_심볼 ROAD_NO 규모_번호_심볼 ROAD_ROLE 도로기능_심볼 DRAWING_NO 도면번호 EXCUT_SE 집행상태코드 심볼 CREATE_DAT 현황도형 생성일시 [국가공간정보퍼털]행정동경계 [국가공간정보퍼털]행정동경계 >> 다운받으러가기 UFID UFID VARCHAR2 34 NN PK BJCD 법정동코드 VARCHAR2 10 NN NAME 명칭 VARCHAR2 100 DIVI 구분 VARCHAR2 20 NN SCLS 통합코드 VARCHAR2 8 NN FMTA 제작정보 VARCHAR2 9 NN ● 항목설명 구분 행정경계(읍면동)의 구분을 나타내는 코드 읍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동, 군경계 대체 1/1,000 HJD000 미분류 HJD008 읍 HJD009 면 HJD010 법정동 HJD011 행정동 HJD012 리 1/5,000 1/25,000 HJD000 미분류 HJD006 군 HJD008 읍 HJD009 면 HJD010 법정동 통합코드 행정경계(시군구)의 통합 표준코드 1/1,000 G.. [국가공간정보포털]건물통합정보 [국가공간정보포털]건물통합정보 >> 다운받으러가기 UFID UFID BLD_NM 건물명칭 DONG_NM 동명칭 GRND_FLR 건물통합_지상층수 UGRND_FLR 건물통합_지하층수 PNU 토지코드 ARCHAREA 건물통합건축면적 TOTALAREA 건물통합_연면적 PLATAREA 건물통합대지면적 HEIGHT 건물통합_높이 STRCT_CD 구조 USABILITY 용도 BC_RAT 건물통합_건폐율 VL_RAT 건물통합_용적율 BLDRGST_PK 건축물대장_PK USEAPR_DAY 승인일자 REGIST_DAY 데이터생성_변경일자 GB_CD 구분 VIOL_BD_YN 위반건축물 GEOIDN 참조체계연계키 BLDG_PNU BLDG_PNU_YN BLD_UNLICENSE BD_MGT_SN SGG_OID COL_ADM_S.. 메가트랜드에 따른 도시여건변화 1. 개요◦ 사회·기술·환경·경제 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변화에 대응한 국토정책 수립을 위한 메가트랜드 분석 및 그에 따른 도시여건변화 분석◦ 현 정부의 국토·도시분야 주요 아젠다 및 메가트랜드를 고려한 국토정책방향 2. 메가트랜드와 도시여건변화구분메가트렌드도시여건변화인구변화고령화,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1인가구증가, 다문화가구증가지역쇠퇴와 과소화 및 지역간 양극화(축소도시)도시재생 등 국토공간 정비 필요성 증대경제변화생산 가능인구 감소문화·여가·의료 등 서비스업 중심스마트팩토리 도입 : 인공지능 자동화삶의 질 향상을 위한 서비스업 경제분야 증대기후변화기후변화, 지진 등 자연 재난 증가에너지·자원 부족안전·방재계획 관심 증대신재생에너지 도입 필요성 증대 기술변화첨단기술 발달 및 융복합무인 첨단교통 .. 도시첨단물류단지 1. 개요 1) 배경 ○ 도시물류, 기업과 소비자간 거래(B2C)의 급증에 대응하여, 낙후된 도심 물류・유통시설을 물류․유통․첨단산업 융복합단지로 재정비할 수 있도록 도입 * ‘15.5월 도입 발표(제3차 규제개혁장관회의), ’15.12월 법적 근거 마련(물류시설법 개정) * '18.4 제3차 물류시설개발종합계획 고시 & 보고서 ○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 정책을 활성화하기 위해 관련 규제 완화 - 사업계획승인권자가 주거환경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하는 경우 공장과 주택의 복합건축 허용, 이 경우 물류시설은 지하층에 설치 2) 시범단지 선정 ○ 2016년 6월 도시첨단물류단지 시범단지 지정 - 국토교통부는 지자체에서 신청한 후보지(10개소)에 대해 도시・생활물류 수요, 첨단산업 ..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