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시계획개론

(9)
9. 도시조사분석 가. 도시조사 1. 도시조사의 의의와 목적 o 도시조사의 목적(일본 도시학자 日笠 端) ① 지역차원에서의 도시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올바른 지위와 위치를 부여 ② 도시의 발전과정과 현재의 제 기능을 명확히 해서 그 존립조건을 이해 ③ 도시가 안고 있는 문제에 대한 정확한 인식 ④ 도시가 지니고 있는 양호한 스톡(stock)과 보전해야 할 좋은 조건 등을 명시 ⑤ 도시를 몇 개의 동질적인 지구로 구분하여 각 지구가 갖는 문제를 파악하고 지구 상호간 관계와 도시전체의 구조를 이해 ⑥ 장래의 시가화 동향 예측, 기성시가지의 기능 및 특성변화 예측 ⑦ 도시의 목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정 ⑧ 장래의 계획이론을 전개하고, 기술을 발전시키기 위해 체계적으로 자료를 축적 2. 도시조사의 범위와 내용 1) 일반적 범위와..
8. 도시기본계획 출처 : 2020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위원회 매뉴얼 심의기준
7. 국토계획법 제정배경 및 주요 개편 내용 가. 제정배경 ○ ‘94년 도입된 준농림지역 제도는 부족한 주택, 공장용지 확대에 기여하였으나 계획기법의 부족으로 난개발 초래 - 준농림지역 등 90년대 완화된 토지이용규제로 200만호 주택건설 등 토지공급에 기여하였으나, 난개발 등 부작용 초래 ○ 우리나라의 경우 도시적 용지 부족으로 개발수요를 충족시키면서 난개발 해소를 위한 “선계획-후개발” 체계 구축 필요성 제기 - 도시적 용지비율 : 5.3% → 9.1% (2020년, 제4차국토종합계획) (일본 7%, 영국 13%) ○ 제4차 국토종합계획에서 제시한 「선계획-후개발」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난개발방지 종합대책』(2000.05.30.) 발표 - 준농림지역 관리 강화로 과도한 고밀도 개발 억제 - 국토이용관리법 및 도시계획법 통합 (국토이용체계 일원..
6. 우리나라 도시계획제도의 주요 내용 가. 우리나라 도시계획제도의 구성 o 2003년부터 시행중인「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이 현행 도시계획제도의 기반임 -도시기본계획: 도시의 장기발전방향 등을 포함하여 도시의 미래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수단을 검토ㆍ제시하는 법정의 장기계획 -도시관리계획: 토지이용 행위의 종류나 그 강도 등 토지이용을 관리하는 제도적 수단 나. 도시기본계획제도 1) 도시기본계획제도의 의의 (1) 도시기본계획제도의 등장 o 전통적인 토지이용규제 위주의 도시계획→달성하고자하는 목표중심의 장기계획에 중점 o 도시기본계획이 제시하는 도시의 미래상과 목표가 도시관리계획 수립의 지침이 됨 o 미국은 1928년 「표준도시계획수권법」(Standard City Planning Enabling Law)을 통해 도시기본계획(co..
5. 도시계획제도 가. 도시계획제도의 의의 1) 근대 도시계획제도의 성립 o 1848년 영국공중위생법(public health act)에서 태동: 공중보건관련 규정 외에 공해로 인한 노동자 계층의 위생환경 해결을 위해 가로폭, 건축선 위치, 건축물 높이 등을 규제 -아담스미스의 자유방임주의에 반하는 획기적 사건 -근대도시계획의 시발점 o 이상도시에 대한 사회적 논의 증대: E. Howard의 Letchworth건설이후 확신을 갖게 됨→도시를 계획적으로 개발하는 계획 만들기 활동으로 확장 o Patrick Geddes의「Cities in Revolution」: 도시를 유기체로 전제, 과학적 도시계획의 중요성을 강조 o Le Corbusier: 1920년대: 도시를 교통, 생산, 거주, 여가기능이 결합된 구조체로 간주 - 「..
4. 도시의 역사 가. 고대 도시 1) 고대도시의 기원과 형성과정 더보기 초기 인류는 변덕스러운 기후와 자연재해 등 물로부터의 공격을 막기 위해 자연 동굴을 이용하거나 인위적으로 땅을 파서 임시 거쳐를 마련했다. 인류가 이동 생활을 청산하고 한 곳에 정주하게 된 것은 약 1만 년 전 시작된 신석기 혁명 이후의 일이다. 신석기시대에 석기를 활용한 원시 농업이 태동했는데, 농경 활동과 함께 본격적으로 한 곳에 정주하는 거주 체계가 등장한다. 원시 농업은 이전에 자연과 동화되어 있던 인류가 자연을 변화시켜서 본격적인 인류 문명을 일으킨 일대 사건이다. 고대도시들은 상호 간에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었으나 모듀 유사한 구조를 갖는데, 이는 종교 시설의 중심부 입지와 거주지의 계층 간 분리라는 동일한 도시 조성 원리에 기인한다...
3. 도시의 계획이론 가. 도시계획의 개념 ○ 현대적 의미의 도시계획의 시초인 전문적ㆍ물리적 계획은 19세기부터 시작된 도시산업화에 대한 20세기적 대응에서 비롯 : 도시의 물리적 퇴락에 대한 사회개혁운동 전통 ○ 당시 개혁가들은 “도시의 퇴락해가는 물리적 환경은 사회적 책임하에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 > 19세기말, 20세기 초부터 주로 물리적 계획(physical planning)의 도시계획전통 정착 ○ 1960년대부터 계획이 가지는 정치, 경제, 사회적 영향이 중요하게 인식 - 계획의 절차와 실행에 있어 사회적 요건의 고려가 필수적인 요소임을 인식--종합적인 계획으로 발전 ○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 도시기본계획→도시관리계획→지구단위계획 -도시기본계획: 기본적인 공간구조와 장기발전방향을 제시하는 종합계획 -도시관리계..
2. 도시화 현상과 도시문제 가. 도시화(Urbanization)의 개념 1) 개요 ○ 산업혁명을 계기로 공업을 중심으로 한 기계문명이 발달하면서 일어난 인구의 도시집중과 그에 따라 인간 삶터가 공간,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도시적으로 확대됨 ○ 협의의 도시화 - 산업 발전에 따라 농업적인 지역이 도시적인 지역으로 변질하는 것 (기능적, 물리적 변화) ○광의의 도시화 - 취락 또는 지역에 있어서 도시적 요소가 점차 증대하는 과정 (문화적, 정신적 변화) - 인간의 활동이 도시에 점진적으로 집중하여 인간의 정주 규모가 증대하는 과정 - 한 국가 또는 지역의 산업구조가 변하여 비농업 부문의 경제활동이 우세해지는 과정 -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이촌향도현상이 가속화되고 도시적 생활양식과 가치관이 급속히 퍼져나간 것이 대표적인 현상 2)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