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군계획시설 결정의 범위와 부대시설 및 편의시설 설치
도시 1. 도시군계획시설의 결정범위1) 유형별 결정범위◦ (공통) 모든 도시계획시설은 도시관리계획 결정 및 실시계획인가 시 시설의 위치 및규모, 사업시행자, 시행기간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도시계획시설 결정 : 시설의 종류, 명칭, 위치, 규모 등- 도시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인가 : 위치 및 사업의 종류, 명칭, 면적, 규모, 사업시행자의 성명 및 주소, 착수예정일 및 준공예정일, 수용 또는 사용해야 할 토지 및 건축물의 소유자 등◦ (건축물형 도시계획시설) 건축물인 도시계획시설은 도시계획시설 결정 시 시설의 건폐율, 용적률, 높이 등을 함께 결정하여야 한다. ◦ (단지형 도시계획시설) 공항, 항만, 유원지, 유통업무설비, 학교 중 대학, 운동장 등 6개 시설은 도시계획시설을 결정할 때 그 시설의 기능발..
빅데이터 도시
1.개요1)배경도시 활동의 주체 중 최소 단위인 개인들에 의한 생활속 정보에 대한수집, 저장, 분석하는 기술의 발전으로 활용가능성 향상도시계획 및 도시관리에 관련한 공공정보의 개방과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 변화2)개념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인구, 자원, 교통, 검물, 환경 등에 관한 빅데이터를 가지고 재해대응, 안전관리, 교통정보 제공, 도시관리, 도시계획 등 도시행정을 구현하는 것 * 빅데이터 : 기존 데이터에 비해 규모(volume)가 방대하고, 형식이 다양(Variety)하며, 순환속도(Velocity)가 매우 빨라 기존 방식으로는관리·분석이 어려운 데이터 집합 2.주요내용1)도시정보의 빅데이터화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인구, 자원, 교통, 건물, 환경 등에 관한 자료를 체계화한 도시정보와 U-C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