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슬리모닝브리프] CPI 예상치부합, 삼성전자 연중신고가, 오라클실적, LG전자,SK하이닉스 [23/12/13]
1. 00:00:00 반도체를 이끄는 삼성전자의 52조 신고가와 경쟁구도, AI와 컴퓨팅 파워의 중요성
- 삼성전자의 52조 신고가에 대해 1년 동안 어떤 시점에서도 수익을 내는 투자자들의 애정을 볼 수 있다.
- 삼성전자, 하이닉스, 마이크론은 메모리 분야에서 꾸준한 경쟁을 이루며 선두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 온 디바이스 AI와 컴퓨팅 파워의 중요성으로, 컴퓨팅 파워 부족으로 인해 데이터 센터를 개발하지 못하는 회사들도 등장하고 있다.
2. 00:04:41 컴퓨팅 파워가 높은 쇼티지 반도체와 빅테크 주식이 강세를 보이고 있는 와중, 유틸리티와 에너지 등 방어적인 섹터는 약보합에서 마감.
- AI 및 On-device 기술이 즉각적으로 시장에서 구현되고 있어 하나의 산업혁명 같은 모멘텀이 진행 중이다.
- 반면 반도체 산업의 강세는 NVidia, AMD, 마이크론, TSMC 등에서 이어지고 있다.
- CPI 발표는 시장에서 예상한 대로 나타나 큰 변화는 없었다.
- 내일 새벽 FMC의 회의 결과 발표 예정
3. 00:08:43 리오프닝 관련주들이 경기침체로 하락한 육가와 급리 타지 않아서 증시 강세. 주목 받는 업체: 비자, 브로드컴, JP무건, 어도비
- 코로나19 급격한 확산으로 하락세를 보였던 리오프닝 관련주들은 경기침체와 함께 상승장세를 보이고 있다.
- 올해 들어 73개의 종목이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는데, 비자, 브로드컴, JP무건 등이 주목을 받고 있다.
- 특히 평소 일상에서도 자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기업 '어도비'는 직장인과 학생들에게 특별한 인기를 얻으며 올해 연초 이래 88% 상승을 기록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 단, 코스트의 감소로 인해 리오프닝 관련주들이 이득을 봤지만,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한 조치를 미리 해둬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4. 00:12:26 오라클, 클라우드 사업으로 많은 매출을 차지, 그러나 실적 충족 못하는 등 주가 하락
- 클라우드 사업부가 중요한 회사로 클라우드 전체 시장에서 AWS 아마존이 32%, 애저 마이크로소프트가 22%의 점유율을 차지한다.
- 오라클도 클라우드 사업으로 많은 매출을 차지하는데, 클라우드 서비스 매출의 74% 비중을 차지한다.
- 어제 실적이 충족하지 못해 주가가 12.4% 하락한 상황이다. 매출은 전년대비 12% 증가했으며, 컨센서스보다는 미세하게 하회했다.
- 실적이 충족하지 못했으며, 미래 전망도 그리 밝지 않아 시장에서는 '뉴트럴'한 것으로 인식된다는 의견이 나와 주가가 하락한 것으로 파악된다.
- 기업실적에서 매출과 영업지출, 순이익 등을 표시할 때 갭기준과 난갭기준을 함께 사용하여 기대치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미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참고할 필요가 있다.
5. 00:16:40 클라우드 서비스 회사의 매출이 중요한데, 클라우드 라이센스와 하드웨어 모두 매출 감소, 서비스는 1.7% 하락
- 클라우드 서비스 회사에서 클라우드 라이센스는 yoy로 18%, 하드웨어는 11%, 서비스는 1.7% 만큼 감소했다.
- 중요한 매출을 가진 클라우드 서비스 쪽이 잘 유지되어야 주가 모멘텀도 받을 수 있는 회사인데, 이로 인해 주가가 큰 폭의 조정을 받았습니다.
- 조정 영업이익은 5.54 빌리언 달러로 나오며, 43%의 op마진을 보였습니다. 매출은 yoy로 5% 증가, 조정영업이익은 yoy로 8% 증가, 조정순이익은 yoy로 14% 증가.
- 조정eps도 yoy로 11%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는 회사입니다.
6. 00:19:37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GPU 케파 부족, 시장 평가 조정
- 데이터센터 GPU 케파 부족으로 인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의 실적과 시장 평가가 하회되고 있다.
- AMD의 중요한 고객이며, H100과 같은 고성능 GPU, 가속기를 구입하지 못하여 데이터센터 증설이 지연되고 있으며, 단기간 내에 해결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이로 인해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의 모멘텀은 당분간 약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제이프모건은 중립 의견을 내며 시장 평가를 낮춰주었다.
- 오라클의 경우 큰 영업이익을 내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케파 부족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하고 있으며, 시장에서 약세를 보이고 있다.
- 클라우드 업체들은 동일한 GPU 부족 상황일지라도 잘 대응하여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 00:24:15 ️주식 및 경제 분석
- 맥스와 프로젝션을 분석하며, 주가에 대한 예측과 업사이드를 알아냈다.
- 다른 기업과 비교해 클라우드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주가 평가에 대해 이야기하며,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의 위치를 언급했다.
- CPI와 집주인 비용의 하락이 관련되어 CPI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 CPI와 코어 CPI의 변화를 분석하고, 주거비가 전체 CPI에 영향을 주는 것을 관찰했다.
8. 00:28:54 에너지 물가는 하락세를 유지, 주거물가 역시 감소
- 코로나 시대에 따른 *에너지 수요 감소*로 인해 가솔린 가격 등 *에너지 가격이 하락*했다.
- 전체 에너지 물가는 *마이너스 2.3% MOM*으로 빠졌고 *35%를 차지하는 쉘터* 역시 MOM 0.4로 전월 대비 유지되고 있다.
- 하지만 *주거물가는 YOI 6.5%로 하락*하며 계속해서 내려가는 추세이다.
- 또한, 2022년 말에는 MOM 0.8%를 찍은 이후 현재 MOM 0.4%까지 내려갔다는데, 고점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9. 00:31:29 ️ 주거물가 하락에 따른 렌트 비용 감소 예상
- 2022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미국의 렌트 가격이 16.1%에서 3.2%로 하락했다.
- 이로 인해 주거물가도 점차 하락하여, 미래에는 주거 비용도 약 4% 정도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2023년 10월에는 진로 렌트 가격이 전월 대비 마이너스 0.1%로 하락하여,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 이에 따라 주택 시장에서 렌트 가격이 계속 하락하면서, 쉘터 CPI 지표도 같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10. 00:35:36 ️주식시장 변동성, 중국 부동산에 주목
- CPI와 주식시장의 연관성이 멀어지고, AI와 기업의 변화에 주목한다.
- 중국시장에서 상하이 지수와 테크지수가 상승하고, 종원기업 ETF 매수 추천 시간은 오후 2시 반부터이다.
- 한국시간 4시에 중국시장이 마감되는데, 2시 반에 매수해도 끝에 팔아도 된다.
- 부동산, 금융, 유틸리티는 강세이고, 헬스케어와 IT는 약세를 보여준다.
- 보리부동산은 부동산 섹터에서 선두 주자이며, CSI 300 업종별에서도 강한 상승세를 보였다.
11. 00:39:41 ️중국 부자 동네의 부동산 거래 지표와 보험사, 방산주, IT 관영준의 동향
- 중국 부자 동네의 부동산 거래지표 및 부동산 부양책이 시행되면서 선전시는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돌아섰고, 광주는 아시안게임 이후 플러스로 강하게 돌아섰다.
- 보험사들은 부동산 투자를 많이 하며, 방산주와 IT 관영준도 주목받는다.
- 외환환율은 일정 정도 하락하고, 외국인은 중후주시도에서 순매도했다.
- 중국 시장에서 AI 서버 관련 섹터는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틱톡의 팁 지불 규모가 크게 증가했다.
- 틱톡의 매출은 여전히 고성장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 이외의 해외 시장도 높은 성장을 유지하고 있다.
12. 00:44:08 ️태모(틱톡)의 미국에서의 성장과 타겟 마켓 비교
- 태모의 사용시간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젊은 사용자*의 평균 사용시간은 19분으로 가장 높았다.
- 태모는 2번째 기준으로 *일 평균 18분*을 사용하며, 아마존(10분), 알리익스프레스(11분)와 비교해도 사용시간이 긴 편이다.
- 태모는 더 많은 상품 종류와 싸고 저렴한 가격으로 *미국 타겟 마켓*에서 차별화하며 성장하고 있다.
- 다만, 태모는 배송에 *일주일 정도* 걸리지만, 배송비는 무료이며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경제적인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다.
- 태모는 아마존과 차별화를 두기 위해 *테크 분야*로 진출하고 있으며, 아리바바 시가총액을 이미 넘어섰다.
13. 00:48:14 ️태무 주식의 향후 전망과 커피 시장 동향
- 태무 주식은 핀도도와의 관련성으로 성장했으며, 태무를 사려면 핀도도를 사야한다는 조언이 있었다.
- 태무 주식은 아직 고개들이 벌 수 없는 상황이지만, 가격 경쟁력이 높아 커피 시장에서 성장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 카페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충무커피숍의 매장 수는 5만 개로 성장했다.
- 중국의 커피 시장은 성장세이며, 핀도도와 알리익스프레스를 비교하기 위해 두 사이트 모두 주문해 볼 계획이다.
- 태무의 주가는 2달러에서 27달러까지 올랐으며, 현재도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14. 00:53:06 주식시장 관련 정보
- 인터뷰 중 전 세계 주식 정보, 미국 중국 일본 등 지역별 주요 기업들 주가 변동 상황 등을 소개하고 있음.
- 한국 코스피에서는 개인, 기관, 외국인 투자 등으로 매도 매수가 다양하게 이루어 졌고, 외국인이 선물 9777 억을 매수하여 기관 프로그램 매수세와 함께 유입된 모습임.
- 일본 시장에서는 IT업계와 자동차 업계 등이 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기업 종목이다.
- - 호야
- 디스코
- 이비든
- 렐리소시
- 이오테크닉스
유로 앤드 달러, 국제유가 등의 정보도 언급됨.
15. 00:57:26 한미 이오테크닉스 등 기업들의 밸류에이션과 LG전자, LG이노텍 실적 분석
- 한미 이오테크닉스 등의 기업들을 참고하여 밸류에이션을 분석하며, LG전자와 LG이노텍의 실적을 살펴보았다.
- LG전자는 4분기 영업이익을 4,900억원으로 전망하고, LG이노텍의 실적 제외시 적자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 LG전자가 LG이노텍의 약 40% 지분을 가지고 있어, 매출과 이익의 40%를 당겨올 수 있다.
- LG전자의 주가는 연초에 상승할 가능성이 높으며, LG이노텍의 개별 실적 또한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되었다.
16. 01:01:58 SK하이닉스 GPU 수요 예상, 내년에 큰 성장 예상
- LG전자의 주가 그래프를 보며, 연말과 연초에 주가가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 2022년은 금리 상승으로 인해 시장 전체가 하락한 상황이었으나, 상반기에는 주가가 상승했음에 주목.
- SK하이닉스의 H100 GPU 출하량은 2023년 2분기에 900톤으로 예상되며, 클라우드 및 데이터 센터 시장의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됨.
- 빅테크 기업들이 대량으로 GPU 물량을 취득하였으며, 내년에도 GPU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SK하이닉스와 관련된 GPU 시장은 내년에 2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실시간으로 판매량을 체크해야 함.
17. 01:06:44 ️외국인 매매 동향 및 종목 상황
- 이번 주 외국인 선물 매수로 인해 기관은 6천억을 샀지만 일부 종목은 순매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 ls-materials와 innovation, ensol, 현대로템, skitech, ncm은 기관이 많이 팔았으며, ls-materials는 상한가로 거래를 마쳤다.
- 유가 하락과 재고 손실에 따른 어려움으로 sk-innovation의 주가와 실적이 하락하였다.
- 배터리 시장의 악조건 때문에 2차전지 관련 종목들도 주가 하락을 보였다.
- sk-innovation과 sdi의 연초유가 하락과 pr, pbr 지표의 하락으로 주식의 가격이 낮아졌고, sk-innovation은 3개월 동안 20%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 그러나 sk-innovation은 전고차 배터리 생산 계획 등으로 잠재적 매력이 있는 종목으로 평가되고 있다.
'작은 부자 프로젝트 >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슬리모닝브리프 2023.12.19. (1) | 2023.12.19 |
---|---|
체슬리모닝브리프 2023.12.18. (1) | 2023.12.18 |
체슬리모닝브리프 2023.12.14. (0) | 2023.12.14 |
체슬리모닝브리프 2023.12.12. (0) | 2023.12.12 |
체슬리 모닝브리프 24.12.11. (3) | 2023.12.11 |
증시각도기 2024 부동산전망 (0) | 2023.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