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요즘 정상회담 등 북한과의 화해모드인데요.
그래서 북한의 개발여건과 도시계획등을 관련하여 살펴봤습니다.
지속적으로 관련 사항들을 지켜봐야할 것 같네요.
1. 북한의 개발여건
- 단기적으로 경제특구와 접경지역 중심의 단계적 개방·개발과 노동집약적 수출산업 선 육성
- 대외신뢰 회복을 위한 제도 구축과 특구 중심 시장경제 도입 등을 추진 중
- 장기적으로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교통·에너지·관광 인프라를 개발하고, 한국과 중국 등 동북아 산업협력의 시너지 창출 가능
2. 체제전환과 국유자산의 사유화에 따른 변화
- 비공식적으로 개인 간의 거래를 허용하는 장마당이 모든 대도시에서 활성화되어있고 부동산의 거래도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
- 체제전환(계획경제→시장경제, 집단적소유→개인소유)에 따라 자산의 사유화와 임대료 형성
- 도심부 토지이용변화, 주거지의 분화, 상업지역의 등장, 도시확산, 직주근접 공간계획체계의 와해 등 예상
3. 북한 국유토지의 정책 방향
- 일정 수준의 사유화가 허용되었던 동구권 국가와 달리, 주택과 토지의 사유화가 전혀 허용되지 않았던 북한은 체제전환이라는 변화에 따른 영향이 더 클 것
- 간선녹지축, 간선기간망, 국방안보시설, 국민복지시설 등은 국유화를 유지
- 주민생활과 주민생업유지를 위한 주택과 농지에 대한 방안 마련 필요
4. 국토·도시의 변화와 도시계획가의 역할
- 북한의 국토와 도시, 토지와 주택에 대한 면밀한 현황조사
- 북한지역 경제회생 촉진을 위한 제한적인 공공투자와 민간자본 투자를 위해 지적·등기·감정평가 등의 제도적 기반구축
- 체제전환기에 교외지역 신개발에 대한 선호가 크므로 교외지역 성장관리를 강화시키는 도시기본계획 수립
- 현대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가 큰 평양의 도심부를 보전·관리 할 방안 마련
- 도시계획교육, 도시계획실무계에서는 체제전환에 따른 토지와 주택, 공간계획의 질서재편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고, 이러한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프로그램 개설
- 북한의 국토·도시계획 연구 수행
- 협력과 공진(co-evolution)
- 미래지향적이고 지속가능한 발전
- 산업·도시와 SOC 개발 병행
- 통일 후 국토·도시계획 관련 지속적인 연구 수행
- 북한의 국토·도시계획 관련 정책 및 계획에 대한 심화 연구
- 통일 전후 국제개발협력사업의 확대방안에 대한 연구
- 남북한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한반도 국토공간구조구상 구체화 및 핵심 프로젝트 발굴·실행방안에 대한 연구
- 북한 국토·도시계획 프로젝트 추진에 따른 경제사회적 파급효과에 대한 연구
- 북한 국토·도시계획 수립과 관련 사업의 집행을 위해 필수적인 국토조사와 지적측량, 지적행정과 등기행정을 위한 토지관리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련 통계자료 등 관련 정보의 체계화를 위한 연구
국토계획_통일을 지향한 북한지역 국토개발 과제_권기철.pdf
국토계획_북한과 중국의 토지이용권제도 비교_김미숙_정매화.pdf
도시정보_201408_통일 후 북한의 국토·도시계획 과제.pdf
728x90
반응형
'Urban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래 신교통수단에 대한 생각 (0) | 2018.10.06 |
---|---|
미래도시 건설기술 (0) | 2018.09.27 |
경제자유특구 및 지역특화발전특구에 관한 규제특례법(규제자유특구법) (0) | 2018.09.24 |
수도권주택공급확대방안 (0) | 2018.09.21 |
서울형 도시재생 신규지역 (0) | 2018.09.21 |
자연환경보전 vs 부동산 가격 안정 (0) | 2018.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