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도농복합지역
CNS STUDIO
1. 개요
1) 도농복합지역이란?
도시와 농촌이 병존하는 공간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이 둘을 연계·통합하여 서로의 기능을 보완하고자 하는 지역
「도농복합형태의 시설설치에 관한 법률」의 도농복합시는 행정구역 개편으로 도시와 농촌이 통합된 형태의 시
2) 출현배경
- 도시화 국가시대 도래 : 2020년 이후 전 국토의 도시지역화 예상
- 러바니제이션(Rurbanization) 현상의 보편화
- 행정구역 개편 및 도농통합정책 시행 (1990년대)
2. 도농복합지역의 특징
1) 사회적 특징
- 공동체 의식 저하 : 이질적인 기능과 문화의 충돌로 지역문제 야기
- 도농 주민간의 갈등 심화
- 기존 지역주민과 유입된 주민간의 갈등
- 통합 후 농촌 주민들의 불만과 소외감 증가
2) 행정적 특징
주민생활권과 행정구역 일치
지역 간 행정서비스 제공 수준의 불균형
- 도시서비스 공급수준, 도농간 도시서비스 공급격차 변화 없음
- 도시지역에 도시서비스 집중
3) 경제적 특징
- 긍적인 특면
- 규모의 경제를 통한 지자체의 효율성 증가
- 전담부서를 통한 업무수행으로 광역권 전체의 지역경제 성장 시도 가능
- 부정적인 측면
- 지역 경제 기반의 약화 (도시지역의 재생 기반 약화, 농촌지역의 경제활동기반 약화)
- 농촌지역의 인구 지속적 유출
- 정부의 각종 지원 정책의 사각지대화 우려
3. 도농복합지역 특성을 고려한 발전 방향
- 공동체 의식 향상 및 주민 일체감 형성 필요
- 도농복합지역 거주민을 위한 정기적 행사 개최
- 주민참여를 통한 상향식 계획 수립 및 실행
ex)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로 안전마을 만들기 등 - 행정서비스 불균형 해소를 통한 농촌지역 주민의 소외감 완화
- 지역경제 불균형 해소를 통한 농촌지역의 자생력 강화
728x90
반응형
'도시·건축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시·군계획시설의 중복결정, 입체적 결정 (0) | 2018.09.21 |
---|---|
도시·군계획시설 (0) | 2018.09.20 |
노후기반시설 민간투자사업 (0) | 2018.09.20 |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제이콥스] (0) | 2018.09.18 |
스마트도시와 DTS (0) | 2018.09.18 |
입지규제최소구역 (0) | 2018.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