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도시의 역사
- 고대 이집트 카훈에 기원을 둠
- 그리스·로마 시대의 신도시 : 군사·무역 등 특수 목적에 의해 개발
- 하워드의 전원도시 : 종합적·통일적 개념으로 신도시 개념 정립 → 기존 도시의 결함 개선보다는 도시와 농촌간 공생적 상호관계의 창출 수단으로 봄
> 산업화에 의한 피해로부터 인간적인 정주환경을 확립코자 문명과 자연을 결합시키려는 통합적 개념으로 발전
> 현대 사회 복합적 쟁점으로 대도시 인구분산, 주택공급, 대도시 도피주의의 수단으로 한정되어 적용
2. 나라별 신도시
1) 영국
- 19세기 말 : 전원도시운동
- 1940년대 초기 신도시 : 런던 대도시권 인구분산 목적
- 1940년 대 후 신도시법(New Town Act,1946.) 제정에 따라 자족성과 공동체 구현을 목표로 추진
>>건설목적은 팽창일로에 있는 런던의 과잉인구를 신도시에 적극적.계획적으로 유도하고 여기에 직장과 주거를 제공하여 주거와 업무가 균형잡힌 자족적인 신도시(self-contained and balanced community for work and living)를 건설
시기구분 | 신도시 | 주요특징 |
제1기 (1946~1950) |
Stevenage(1946), Crawley(1947), Hemel Hempstead(1947), Harlow(1947), Newton Aycliffe(1947), East Kildride(1947), Hatfield(1948), Glenrothes(1948), Peterlee(1948), Welwyn(1948), Basildon(1949), Cwmbran(1949), Bracknell(1949), Corby(1950) |
-14개의 신도시 -비교적 소규모·저밀도 -전원도시형 개발 -대중교통(철도, 버스) 중심의 교통체계 |
제2기 (1951~1964) |
Cumbernauld(1955), Skelmersdale(1961), Livingston(1962), Telford(1963), Runcorn(1964), Redditch(1964), Washington(1964) |
-7개의 신도시 -잉글랜드 중부 및 북부에 집중적으로 건설 -1기에 비해 대규모·고밀도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 |
제3기 (1951~1964) |
Cragavan(1965), Antrim(1966), Irvine(1966), Ballymena(1967), Milton Keynes(1967), Peterborough(1967), New Town(1967), Warrington(1968), Northampton(1968), Londonderry(1969), Central Lancashire(1971) |
-11개의 신도시 -대부분 런던외곽에 건설 -지역개발의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대규모로 개발 -자족성 제고에 주력 |
2) 미국
- 1900년대 초기 신도시 : 공업도시 주택공급을 통한 노동자 대책
- 1930년대 신도시 : 전원도시적 성격
- 1960년대 : 무질서한 도시 팽창과 중심도시에 대한 반성적 대안으로 개발
- 1980년대 :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에 따른 계층간 공간분리, 환경오염, 농업용지 및 동식물 서식지의 상실 등을 사회문제로 규정. 여기에 대처하기 위해 신도시주의(New Urbanism) 대두
- 1990년대 : ESSD 개념 도입
3) 한국
- 1960년대 후반 : 공업단지 배후지로 출발
- 1980년대 이후 : 수도권 과밀 해소 및 인구분산을 위한 주택공급 목적
- 1990년대 이후 : 자족기능 및 주택공급 목적
구분 | 1960년대 | 1970년대 | 1980년대 | 2000년대 | 2020년대 (예정) |
산업도시 산업도시 배후도시 |
울산 '62 포항 '68 |
구미 '73 여천 '77 창원 '79 |
광양 '82 | ||
지방 대도시권 도시문제 |
광주 남악·수안 대구 달성 대전 서남부 |
||||
서울 인구 분산 수도권 주택공급 |
분당/일산 '89 평촌/산본 '89 중동 '90 |
화성 '02 판교/파주 '03 김포 '04 |
|||
도심기능 분산 주택공급 |
잠실 '71 과천 '79 |
목동 '83 상계 '86 |
수원 '04 | 남양주 왕숙1·2 하남 교산 인천 계양 과천 고양 창릉 부천 대장 |
|
서울의 불법주택 철거이전 |
성남 '68 | ||||
서울 공해공장 이전 |
반월 '77 | ||||
연구학원도시 | 대덕 '74 | ||||
낙후지역 거점개발 | 동해 '78 |
※ 년도는 착공년도 기준
참고자료
- 제3기 신도시의 지속가능한 개발방향과 과제, Auric, 2004.06.
- 제3기 신도시의 목표수준과 계획과제, Auric, 2004.06
'도시계획·개발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광주2030도시기본계획 (0) | 2023.10.10 |
---|---|
주거복지로드맵 발표지구 10곳에 대한 지구계획수립 완료 (0) | 2021.01.05 |
우리나라의 신도시 (0) | 2020.05.16 |
3기신도시 과천지구 도시건축통합계획 당선작 (0) | 2020.04.01 |
3기 신도시 기본구상 및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공모(하남교산 / 인천계양 지구) (0) | 2020.04.01 |
3기 신도시 기본구상 및 입체적 도시공간계획 공모(남양주왕숙/왕숙2지구) (0) | 2020.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