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작은 부자 프로젝트/기타정보

6월18일 증시시황

728x90


코스피 0.7% 상승, 코스닥 제로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순매수하면서 코스피만 상승했습니다.
마이크론이 4.5% 올라 하이닉스(5% 급등)와 삼성전자(2% 상승)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이 두 업체의 시총 상승이 코스피 상승을 주도했습니다.

업종 및 종목 동향
전기전자 섹터가 가장 많이 올랐고, 대동전자(16%), 하나시스템(11%), BH이스페이스(7%) 등이 급등했습니다.
증권주와 보험주도 많이 올랐는데, 대신증권(7%), 동양생명(24%) 등입니다.
음식료 업종은 상승과 하락이 엇갈렸습니다. 샘표식품(16% 상승), 사조시푸드(5% 상승)와 해태제과식품, 풀무원, 오뚜기 등은 2~5% 하락했습니다.
2차전지 업체들은 현대차의 밸류체인 내재화 영향으로 LG솔루션(1% 하락), LG에너지솔루션(3% 하락), 에코프로(5% 하락) 등이 하락했습니다.
HBM(고대역폭 메모리) 수요 증가 전망
마이크론 목표주가가 170달러로 상향 조정되었는데, AI 기기 확산으로 HBM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 때문입니다.
HBM 주문이 2025년을 넘어 2026년 1분기까지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이닉스와 마이크론 모두 2025년 주문량이 거의 찼다고 추정됩니다.
하이닉스는 HBM 대응을 위해 청주 M15X와 용인 클러스터에서 생산할 계획이며, 원래 월 7만 장 계획에서 9만 장으로 확대했습니다.
마이크론도 히로시마 공장 확대와 신규 공장 추진 등 HBM 대응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HBM 생산이 집중되면 일반 DDR5 DRAM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HBM이 DDR5보다 웨이퍼 소비량이 5배 많기 때문입니다.

2025년 DRAM 수요 증가 전망
삼성증권에 따르면 2025년부터 AI 디바이스 출시 효과로 범용 DRAM 수요가 전년 대비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하반기에는 DRAM 재고가 부족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디바이스 판매량보다 DRAM 탑재량 증가율이 높아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AI 기능을 위해서는 DRAM 용량 확대가 필요하므로, 스마트폰과 PC의 DRAM 탑재량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애플 AI 스마트폰 성공 여부가 관건
애플이 10월에 출시할 AI 스마트폰의 매력도에 따라 게임의 판도가 바뀔 수 있습니다.
애플 AI 스마트폰이 성공적이면 16GB 이상 DRAM 탑재 수요가 늘어나 신규 생산량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반면 실패한다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테슬라 중국 FSD 테스트 승인 및 전기차 업계 동향
테슬라가 중국에서 FSD(완전자율주행) 테스트 승인을 받아 기대감이 높아졌습니다.
하지만 전기차 수요 감소로 미국 신생 업체 피스코드가 파산 보호를 신청했습니다.
캐즘 기간 동안 재무적으로 어려운 전기차 업체들이 도태되고, 남은 업체들이 과실을 얻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728x90
반응형

'작은 부자 프로젝트 > 기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20일 증시시황  (0) 2024.06.20
6월19일 증시시황  (0) 2024.06.19
엔비디아 시총 1위  (0) 2024.06.19
6월 17일 증시시황  (0) 2024.06.17
6월14일 증시시황  (1) 2024.06.14
6월13일 증시시황  (0) 2024.06.13